내집마련(6)
-
[내 집 마련의 꿈] 청약 계약과 인지세 납부의 모든 것 (feat. 전자수입인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약 계약과 인지세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인지세, 인터넷으로 발급해 반나?" 최근 국세청에서 “인지세는 분양계약서 및 전매계약서를 작성할 때마다 내야 하는 것으로, 계약 시점에 인지세를 바로 내지 않으면 지연가산세를 부과하겠다”는 안내가 나오면서 각 사업장이 발칵 뒤집혔다. 인지세에 관한 정보는 지난번에 포스팅했던 정보를 참고하세요^^ https://drlee0205.tistory.com/135 [내 집 마련의 꿈] 인지세, 계약과 동시에 내야 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집 계약 시에 주의해야 할 수많은 것들 중 인지세에 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늦게 내면 3배 이자 붙는 인지세, 확인 해반나?" 인지세 - 印紙稅 대한민국의 국세 중 하 drlee0205.tistory...
2021.08.21 -
[내 집 마련의 꿈] 인지세, 계약과 동시에 내야 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집 계약 시에 주의해야 할 수많은 것들 중 인지세에 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늦게 내면 3배 이자 붙는 인지세, 확인 해반나?" 인지세 - 印紙稅 대한민국의 국세 중 하나로서, 문서를 발행할 때 내는 세금입니다. 각종 증서를 작성할 때 내는 세금인데, 여기서 "증서"란 재산에 관한 권리의 창설·이전 또는 변경에 관한 계약서나 그 밖에 이를 증명할 목적으로 작성하는 문서입니다. 이런 증서들은 법률행위에 의해 작성되는 문서들이므로 대부분 중요 문서로 취급됩니다. 대한민국 국민은 납세의 의무가 있기 때문에 인지세 또한 반드시 내야 합니다. 분양권 인지세 인지세는 소유권 등기 시에 납부하는 것이 관행처럼 이어져 왔습니다. 하지만, 인지세는 분양권 계약서 작성 시 납부해야 하는 일종의 ..
2021.08.20 -
[내 집 마련의 꿈] 공공 분양 신청하기
안녕하세요. 반나의 로그 데이터, 반나입니다. 주택청약 신청해 반나?^^ 오늘의 주제는 모두의 꿈! 공공 분양을 통한 나의 새 집 마련입니다. 무주택 서민을 주요 대상으로, 국가유공자, 신혼부부, 다자녀 가구, 노부모 부양자, 장애인 등 국가 정책적으로 배려가 필요한 사회 계층에게 주택 마련을 지원하기 위한 주거복지제도가 공공 분양 제도입니다. 전용 면적85m2이하의 주택을 공급하고 있으며, 민영 아파트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아파트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죠. 오늘은 공공 분양의 자격은 어떻게 되고 어떻게 신청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세대 전원이 무주택 세대 구성원 해당 지역(시, 도)에 거주 청약통장 - 수도권은 가입 1년 경과, 12회 납입 시 1순위 그 외 지역은 가입 6개월 ..
2021.06.07 -
[내 집 마련의 꿈] 주택자금조달 계획서 작성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파트 계약을 위해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주택자금조달 계획서 작성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자금조달계획서, 써 반나?^^" 공식 명칭은 주택 취득 자금 조달 및 입주계획서이며, 필요시에 증빙서류까지 제출해야 해서 처음 작성하시는 분들이라면 대부분 힘들어하시는 단계입니다. 하지만, 이것만 클리어하면 진짜 내 집으로 가는 문을 90%는 열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자, 그럼 자금조달계획서를 뿌시러 가볼까요?^^ 최신 문서 양식 찾기 모든 문서 양식은 최신 양식으로 작성해야 두 번 세 번 실수하는 법이 없겠죠? 자금조달계획서의 최신 양식은 아래의 경로에서 내려받으세요. 국토교통부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https://rtms.molit.go.kr/index.do 국토교통부 / 부동산 거래 관..
2021.06.07 -
[내 집 마련의 꿈] 청약통장 10만원 vs 2만원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택청약종합저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청약통장 만들어 반나?^^" 공공/민간 분양에 청약을 넣기 위해서는 먼저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 신축 아파트의 경우, 내가 사고 싶다고 해서 구매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청약통장을 가진 사람이 청약을 통해 당첨이 되면 신축 아파트를 소유할 수 있습니다. 청약통장은 매월 약정한 날에 월단위로 금액을 납입하는 적립식 상품입니다. 따라서 매월 얼마를 넣고 일정하게 넣느냐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합니다. 공공분양과 민영분양 분양공고를 찾아볼 때에는 공공 분양인지 민영분양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공공 분양은 LH, SH와 같은 국가에서 운영하는 공기업의 분양이고, 민영분양은 민간 건설 사업자가 건설하는 주택의 분양을 의미합니다. ..
2021.06.07 -
[내 집 마련의 꿈] 분양가 상한제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합리적으로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 꼭 따져봐야 할 것들 중 하나인 분양가 상한제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지역 청약 넣어반나?^^" 분양가 상한제 분양가격을 안정시켜 주택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아파트 가격을 일정 수준 아래로 규제하는 것 기본형 건축비 + 택지비 = 분양가의 상한선 기본형건축비 : 정부에서 6개월마다 조정 택지비 : 감정을 통한 토지비용 산출 아파트 분양 가격이 너무 높아지거나 일정하지 못하면 분양가의 상승을 야기하게 되고 아파트를 분양받고자 하는 무주택자들에게 부담이 전가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제도입니다. 분양가 상한제의 부활 1999년 외환위기의 도래로 주택시장이 침체되자 규제가 완화되면서 분양가상한제가 사실상 사라졌었으나 분양가상한제 폐지로 ..
2021.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