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10)
-
[주식] 공매도 (short stock selling)
안녕하세요 한동안 주식 시장에서의 핫한 이슈 공매도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도대체 공매도가 뭐길래 공매도를 금지 켰다가 다시 재게 하는 난리를 피우는지.... 알아봅시다. 공매도의 뜻 한자어 그대로를 풀어쓰면 '空賣渡' 없는 것을 파는 것입니다. 해당 종목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데도 매도가 가능한 거죠 공매도라는 뜻만 보면 이해하기 힘든 매매 기법처럼 보입니다. 일반적인 매매와는 맞지 않으니깐요^^ 공매도의 원리 일반적인 주식 시장의 매매 방법은 저평가된 주식을 매수하여 높은 가격에 매도함으로써 얻어지는 시세차익으로 수익을 발생시킵니다. 하지만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미보 유한 상태로 주식을 빌려서 매도합니다. 이때, 주식을 빌리는 데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데 이후에 주가가 하락하면..
2021.06.07 -
[주식]이동평균선과 골든크로스
안녕하세요 오늘은 차트의 기본! 이동평균선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주식 차트 분석 해반나?^^" 이동평균선 주식시장에서의 거래액. 매매대금, 주가 등의 현상을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 과거의 평균적 수치에서 현상을 포착하여 장래의 예측에 활용하는 것이 목적!! 가장 기본적인 이동평균선인 5일, 20일, 60일 120일 선이 차트에 나타나 있습니다. 5일선은 직전 거래일을 기준으로 5일 동안의 평균값을 선으로 나타낸 값이고, 60일선은 직전 거래일을 기준으로 60일 동안의 평균값을 선으로 나타낸 값입니다. (이하 생략^^) 보통 주가가 급등하는 종목의 경우 5일 평균선이 40~50도의 기울기를 유지하면서 상승하고, 50도 이상으로 급격하게 상승하면 막판 상승이라고 보고 분할 매도하는 것이 정상적인 매매 기..
2021.06.07 -
[주식] EPS, PER, PBR 용어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린이를 위한 주식공부! EPS, PER, PBR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주식투자 해반나?^^" 주식을 하다 보면 어디에 투자해야 잘하는 것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때가 많죠? 많은 지표가 있겠지만 EPS, PER, PBR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때가 많습니다. EPS Earning Per Share 주당 순이익입니다. 기업에서 돈을 얼마나 버는지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되고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EPS = 당기순이익 / 발행 주식 수 * 당기순이익 : 회사가 1년 동안 창출한 순수 이익 EPS가 높을수록 주식의 투자 가치는 높다고 볼 수 있고, 그만큼 해당 회사의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신호겠죠? 호실적은 배당 여력과도 연결되므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EPS는 당기..
2021.06.07